API란 ?
·
Knowledge/🌐 Web 지식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앞서, RESTful API라는 아키텍처 스타일을 정했다.* 아키텍처 스타일이란 쉽게 말해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청사진이나 가이드라인이라고 할 수 있다. 우선 RESTful API는 REST API의 원칙을 엄격히 지키는 방식이라고 한다. 그럼 그전에 REST API부터 아니. API부터 제대로 알고 가보자!🙇‍♂️ 얄팍한 코딩사전 님의 유튜브를 참고하였습니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이는 소프트웨어들이 서로 대화할 때 사용하는 수단이다. 그럼 우선 소프트웨어란 무엇일까? -소프트웨어들의 대화 💻 💬     우리가 유튜브 플랫폼을 사용할 때 컴퓨터, 핸드폰, 패드 등 다양한 기기들을 통해 ..
세션(Session) & 토큰(JWT)
·
Knowledge/🌐 Web 지식
🔗 [Knowledge/🌐 Web 지식] - 인증 / 인가* 위 글에 이어 작성하는 글입니다.  인증과 인가에 대해 공부하였다. 이전 글에 이어 , '인증방식'에는 무엇이 있는지, '인증 상태를 어떻게 유지하는지'에 대해 공부해 보자 그전에 앞서, HTTP에 대한 개념부터 알아야 된다.HTTP란? 위 그림처럼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HTTP라고 하는 통신 규약'에 의해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는다.HTTP의 규약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보자.주요 메서드:GET: 정보 요청POST: 정보 전송PUT: 정보 업데이트DELETE: 정보 삭제 등상태 코드:200: 성공404: 페이지 찾을 수 없음500: 서버 오류 등헤더 정보:요청/응답에 대한 추가 정보 제공 (예: 콘텐츠 타입, 쿠키 등)이처럼 다양한 규약에 ..
인증 / 인가
·
Knowledge/🌐 Web 지식
인증 실생활 예시 내가 편의점에서 술을 사려했다. 점원은 나에게 신분증을 제시해 달라고 요구할 것이다.신분증을 확인한 이후 성인임이 확인되면 술을 계산해주었다.여기서의 인증은 '신분증의 확인'이다인증이란 식별 가능한 정보로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절차인가고3 학생이 편의점에서 술을 사려했다. 점원은 학생생에게 신분증 제시해 달라고 요구하였고, 신분증을 확인하였다.(인증)하지만, 고3에게는 아직 술을 살 수 없기 때문에 학생을 돌려보냈다.여기서의 인가는 '고3학생이 술을 살 수 있는지에 대한 권한을 확인하여 접근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것'이다 인가는 인증된 사용자가 특정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지 권한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접근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절차마찬가지로 온라인도 마찬가지이다. 나의 1차 프로..
Sooya186
'Knowledge/🌐 Web 지식'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